AI 인플루언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그림자
![]() |
가상 인플루언서가 부상하고 있다 |
서론
소셜 미디어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중심에는 대중의 관심을 끄는 인플루언서들이 있습니다. 한때 유명인과 전문가들이 주도했던 이 시장에 이제는 인공지능(AI)과 컴퓨터 그래픽(CG) 기술을 활용한 가상 인플루언서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릴 미켈라, 슈두, 로지, 임마와 같은 가상 인플루언서는 수백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하며 인간과 AI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AI 인플루언서의 부상과 그 이점
기업들은 AI 인플루언서가 제공하는 다양한 이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인간 인플루언서와 달리 AI 기반 인플루언서는 관리가 용이하며, 나이를 먹지 않고, 브랜드 이미지에 맞게 세밀하게 조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예상치 못한 논란에 휘말릴 가능성이 없다는 점도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AI 인플루언서는 마케팅 전략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윤리적 쟁점: 문화적 전유와 정체성 문제
AI 인플루언서의 확산은 긍정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윤리적 논란도 함께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많은 AI 인플루언서들은 유색인종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실제 제작자들은 해당 문화적 배경과 관련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디지털 문화 착취로 비판받고 있으며, 기업들이 특정 집단의 정체성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면서도 해당 집단의 실제 구성원들에게는 혜택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인종 차별 연구자인 줄 파크는 AI 인플루언서의 생성이 현대적 형태의 문화적 전유(cultural appropriation)라고 지적합니다. 이러한 가상 캐릭터들은 시장성을 고려하여 특정 정체성을 구현하지만, 실제로 그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이 겪는 현실적인 경험과는 무관하게 활용됩니다. 이는 디지털 환경에서 정체성과 표현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보게 합니다.
디지털 정체성과 진정성 문제
AI 인플루언서의 등장은 온라인에서의 진정성(authenticity) 개념에도 도전장을 던지고 있습니다. 인간 인플루언서는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을 바탕으로 팔로워들과 소통하는 반면, AI 인플루언서는 철저히 브랜드와 마케팅 목표에 맞춰 설계된 가상의 존재일 뿐입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종종 AI 인플루언서를 실제 인물처럼 여기고 소통하며, 이는 디지털 환경에서 진정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합니다.
기업들은 AI 인플루언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활용하여 논란을 피할 수 있지만, 이는 동시에 인플루언서 산업을 더욱 상업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감정과 경험이 배제된 마케팅 도구로 AI 인플루언서를 활용하는 것이 과연 윤리적으로 적절한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AI 인플루언서의 미래와 규제 필요성
AI 인플루언서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인스타그램과 틱톡과 같은 플랫폼은 사용자들이 직접 자신만의 가상 인플루언서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AI 인플루언서 시장의 과포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정체성 소유권, 노동 대체, 디지털 착취와 같은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규제 방안이 필요합니다. 첫째, AI 인플루언서가 인간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밝히는 투명한 공시 정책이 필요합니다. 둘째, 소외된 집단의 정체성을 상품화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AI 인플루언서가 미디어 및 마케팅 산업에서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적절한 규제 정책을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AI 인플루언서는 마케팅 및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에게는 이상적인 마케팅 도구이지만, 문화적 착취, 진정성 문제, 디지털 정체성과 같은 여러 윤리적 논란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AI가 디지털 세상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가운데, 우리는 이러한 변화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보다 윤리적이고 포용적인 AI 기술 개발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참고문헌:
- Miyake, Esperanza. Virtual Influencers - Identity and Digitality in The Age of Multiple Realities. Routledge, 2024.
- Leaver, Tama, et al. Instagram Visual Social Media Cultures. Polity Press, 2020.
- Hund, Emily. The Influencer Industry: The Quest for Authenticity on Social Me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
- Pham, Minh-Ha T. Racial Plagiarism and Fashion. QED: A Journal in GLBTQ Worldmaking, Fall 2017.
- Benjamin, Ruha. Race After Technology: Abolitionist Tools for the New Jim Code. Polity,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