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아래 공기층, AI가 파악한다

 


계절에 따라 변하는 대기 혼합층 높이를 AI가 예측하는 구조를 시각적으로 담아냈다.


“대기 혼합층 높이는 계절 따라 다르다”… 머신러닝으로 기후를 읽다


우리가 숨 쉬는 공기 위에는 보이지 않는 경계선이 있다. 바로 '대기 혼합층(Mixing Layer Height, MLH)'이다. 이 경계선은 지표면에서 올라가는 열과 수증기, 오염물질이 어디까지 퍼질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즉, 날씨, 기후, 대기오염, 심지어 폭염까지 좌우하는 핵심 요소다.


그런데 이 대기 혼합층의 높이는 매일, 계절마다 달라진다. 그렇다면 어떤 요인이 그 변화를 일으킬까? 그리고 그걸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최근 한 연구팀이 이 질문에 대해 인공지능(AI), 특히 머신러닝 알고리즘 'XGBoost'를 이용해 답을 찾아냈다.

---


대기 혼합층이 뭐길래?


대기 혼합층은 말 그대로 지표면의 공기와 상층의 공기가 섞이는 구간이다. 해가 뜨고 지면이 따뜻해지면 이 층은 위로 올라가고, 해가 지면 다시 얇아진다. 이 층의 두께는 도시의 공기질, 기후 변화, 날씨 예측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혼합층이 낮으면 대기오염 물질이 지표면에 머무르고, 혼합층이 높으면 오염이 더 넓게 퍼져 농도는 낮아진다. 기상청이 혼합층 높이를 예측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


머신러닝, 대기를 읽다


전통적인 기상 예측 모델은 너무 복잡하고 계산 비용이 크다. 게다가 혼합층 높이는 수많은 변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예측이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인 'XGBoost'를 활용해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자 했다.


연구는 이렇게 진행됐다:


- 데이터: 미국 오클라호마주의 기상 관측소 4곳(C1, E32, E37, E39)에서 4년(2016~2019)간 수집된 풍속, 온도, 복사량, 수증기, 열 플럭스 등

- 주요 변수:

  - SHF (감각열 플럭스): 지표면에서 공기로 전달되는 열

  - LHF (잠열 플럭스): 수증기 증발 과정에서 이동하는 에너지

  - LTS (하층 대기 안정도): 공기층이 위로 퍼지는 걸 얼마나 막는지 나타내는 지표

- 목표 변수: MLH (대기 혼합층 높이)

- 분석 도구:

  - XGBoost

  - 교차검증(Cross-validation)

  - SHAP 분석(기계학습의 '설명력' 제공)


---


AI, 계절별 차이를 찾아내다


가장 흥미로운 결과는 계절에 따라 혼합층 높이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 겨울(DJF): SHF보다 LHF(잠열 플럭스)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

- 가을(SON): 반대로, LTS(하층 안정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 여름(JJA): SHF, LHF, LTS 세 요인의 영향력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는 여름의 대기 혼합이 복잡한 여러 요소의 상호작용으로 이뤄진다는 걸 의미한다.


또한 시간대에 따라도 변화가 컸다.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분석해보니, 시간이 지날수록 LTS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즉, 대기 혼합층이 높아질수록 대기 안정도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


데이터만 넣으면 AI가 예측해주는 시대?


물론 AI가 만능은 아니다. 데이터가 부족하면 성능이 떨어지고, 지역별로도 편차가 존재한다. 실제로 겨울철에는 측정일 수가 적어 예측 오차도 컸다. 하지만 XGBoost와 교차검증을 함께 활용하면 적은 데이터에서도 꽤 안정적인 예측 결과를 낼 수 있다는 게 이 연구의 핵심 결론이다.


게다가 SHAP 분석을 통해 AI 모델이 어떤 변수에 주목했는지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히 “예측 잘했어요”를 넘어서, 예측 이유까지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후과학의 큰 진보다.


---


기상청, 환경청, 도시계획에까지 활용 가능성


이 연구가 의미 있는 이유는 단지 AI를 사용했기 때문이 아니다. 기후 모델, 날씨 예보, 도시의 대기오염 대응 전략까지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초 데이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어:

- 대기오염 예보 시스템이 더 정확해질 수 있다.

- 도시 열섬현상 대응책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농업 기상 서비스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



#대기혼합층 #XGBoost #기후예측 #머신러닝기상 #SHF_LHF_LTS #머신러닝기후예측 #AI기후예측


---

출처 논문  

- 머신러닝 기반 계절별 대기 혼합층 높이 변동 분석  

- Characterizing Seasonal Variation of the Atmospheric Mixing Layer Height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es  

- 저자: Yufei Chu (Stony Brook University) 외 4인  

- 발행 일자: 2025년 4월 14일  

- 저널의 이름: Remote Sen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