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금융 사기 탐지의 새로운 해법: 인공지능과 ABC 알고리즘의 결합
생성된 이미지는 인공지능과 꿀벌이 협력하여 온라인 금융 사기를 탐지하는 개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AI는 연결된 빛나는 노드의 스타일화된 네트워크로 묘사되고, 각자 금융 데이터를 나타내는 작은 황금 토큰을 운반하는 활기찬 꿀벌 떼와 함께 묘사된다. 꿀벌은 사기 행위를 나타내는 이상 징후와 패턴을 꼼꼼하게 검사하고 처리한다. |
현대 사회에서 금융 기술(FinTech)의 발전은 편리함을 가져다주었지만, 동시에 사기 거래의 가능성도 증가시켰다. 특히 온라인 거래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금융 사기를 정확히 탐지하고 예방하는 기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발표된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바로 Artificial Bee Colony (ABC) 알고리즘 기반 샘플링과 다단계 분류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사기 거래 탐지 모델이다. 이 글에서는 해당 연구의 핵심 내용을 바탕으로, 그 기술적 배경과 실제 응용 가능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본다.
---
금융 사기 탐지에서의 고질적인 문제: 데이터 불균형
온라인 사기 거래 탐지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데이터 불균형이다. 대부분의 거래는 정상이며, 사기 거래는 매우 적은 비율을 차지한다. 이로 인해 전통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정상 거래 패턴에만 최적화되어, 사기 거래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은 오버샘플링, 언더샘플링, SMOTE 등의 기법인데, 각 방법은 한계가 존재한다. 예컨대 SMOTE는 고차원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고, 언더샘플링은 중요한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
꿀벌의 행동에서 영감을 받은 ABC 알고리즘의 적용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BC 샘플링 알고리즘을 도입한다. ABC는 꿀벌의 먹이 탐색 행위를 모델링한 진화 최적화 기법으로, 다수 클래스(정상 거래)와 소수 클래스(사기 거래)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소수 클래스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보강한다.
이 방법은 단순히 데이터를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사기 거래의 특징을 분석해 현실적인 가상 샘플을 생성한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 기존 사기 거래의 중심점을 기반으로 유사한 데이터를 생성
* 가장 분류하기 어려운 샘플에 집중
* 지나치게 유사한 샘플이나 노이즈는 제거
이처럼 최적화된 샘플링은 머신러닝 모델이 사기 거래 패턴을 더 잘 학습하도록 도우며, 정확도와 재현율을 동시에 향상시킨다.
제안된 다단계 사기 탐지 모델. |
---
다단계 분류 시스템: 규칙 기반 + 클러스터링 + KNN
연구진은 ABC 알고리즘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단계 분류 체계에 통합했다.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규칙 기반 필터링: 평균 거래 금액, 위치, 카드 사용 빈도 등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의심 거래를 1차로 걸러낸다.
2. K-평균 클러스터링 (Level 1): 규칙 필터를 통과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상/사기 거래로 분류. 단순한 임계값이 아니라 거래 패턴 기반으로 군집화.
3. ABC 기반 분류기 (Level 2): 클러스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더욱 정교하게 사기 거래를 분류.
4. KNN 최종 분류기: 이전 단계의 정보를 종합해 최종적으로 거래를 사기 또는 정상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각 단계가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며, 정확도 95% 이상, 재현율 93.5%, F1-score 92.7%의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다.
---
다른 접근법과의 비교: 왜 ABC 기반이 우월한가?
다양한 기법들과 성능을 비교한 결과, ABC 기반 모델은 대부분의 기존 방법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SMOTE: 88.1% 정확도, F1-score 79.5%
LSTM: 91.5% 정확도, F1-score 88.7%
그래프 기반 탐지: 92.5% 정확도, F1-score 90.5%
ABC 모델: 95.0% 정확도, F1-score 92.7%
뿐만 아니라, 연산 속도(120ms)에서도 높은 효율성을 보여, 실시간 거래 탐지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실제 응용 가능성과 향후 과제
이 연구는 실제 전자상거래 데이터와 IEEE-CIS 사기 탐지 데이터셋을 통해 검증되었으며, 다양한 데이터 조건(잡음, 누락, 소규모 샘플 등)에서도 강인한 성능을 보였다. 특히, ABC 샘플링은 소규모 또는 불완전한 데이터 환경에서도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신흥 시장이나 중소규모 핀테크 업체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몇 가지 과제도 남아 있다. 예를 들어:
* 복잡한 시스템 구조로 인한 유지관리 어려움
* 신종 사기 패턴에 대한 적응 능력 개선 필요
* 모델 설명력(interpretability) 확보
향후에는 설명 가능한 AI(XAI)와 결합하거나, 강화학습 기반 동적 적응 시스템으로 발전시키는 방향이 유망할 것이다.
---
마무리하며
이 논문은 단순한 기술 개선을 넘어, 진화 알고리즘과 금융 사기 탐지라는 두 분야의 융합을 통해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다. 특히 데이터 불균형이라는 고질적인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실제 데이터에 대한 강인성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앞으로 ABC 기반 탐지 기법은 다양한 산업 분야의 이상 징후 탐지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금융 보안의 새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크다.
---
출처:
Darwish SM, Salama AI, Elzoghabi AA (2025) Intelligent approach to detecting online fraudulent trading with solution for imbalanced data in fintech forensics. Scientific Reports, 15:17983.
---
#금융사기탐지 #ABC알고리즘 #핀테크보안 #데이터불균형 #인공지능사기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