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AI와 IDS의 만남: 보안 시스템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인공지능 해석기술

 

설명 가능한 AI를 갖춘 머신 러닝 기반 침입 탐지 시스템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상호 연결된 노드와 선의 네트워크로 묘사되어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는 빛나는 구체로 표시되고, 각 원이 AI 해석의 다른 레이어를 나타내는 데이터 점의 계층화된 동심원으로 둘러싸여 있다.


사이버 보안의 최전선에서는 '침입 탐지 시스템(IDS)'이 핵심 방어선 역할을 한다. 하지만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ML)을 기반으로 한 IDS는 높은 탐지 성능에도 불구하고, 종종 '블랙박스'처럼 내부 판단 과정을 설명하지 못해 실무에서의 활용에 제약이 있었다. 이번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기술을 IDS에 통합함으로써, 보안 시스템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


 왜 설명 가능한 IDS가 필요한가?


전통적인 IDS는 룰 기반이나 서명 기반 탐지 방식으로 동작하여 알려진 공격에는 효과적이나, 새로운 공격에는 무력하다. 이를 보완하고자 ML 기반 IDS가 등장했지만, 이 역시 내부 작동 원리가 불투명하여 '왜 이 경고가 발생했는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 보안 분석가의 의사결정 지연: 경고 원인을 이해하지 못하면, 적절한 대응이 어렵다.

* 오탐지(거짓 양성)에 대한 피로 누적: 설명이 없으면 오탐인지 실제 위협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 규제 및 감사 대응 미비: 특히 금융, 의료 등 규제 산업에서는 시스템 설명 가능성이 필수이다.


---


 연구의 핵심: XAI와 ML 기반 IDS의 융합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XAI 기법인 SHAP, LIME, ELI5를 다양한 ML 모델에 적용하여 IDS의 설명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을 실험했다. 실험에 사용된 모델은 다음과 같다:


* 결정 트리 (Decision Tree)

* XGBoost

* CatBoost

* MLP (Multilayer Perceptron)

* Gaussian Naive Bayes


이들은 UNSW-NB15 데이터셋(250만 건, 9가지 공격 유형)으로 학습되었으며, XGBoost와 CatBoost가 각각 87%의 정확도, 0.07의 오탐률, 0.12의 미탐률로 최고 성능을 기록했다. 특히 이 모델들은 sttl(Time-To-Live)과 ct_srv_dst(목적지 서비스 수) 같은 특정 네트워크 특성을 중요한 공격 지표로 도출해내며, 실무에서 유용한 해석을 제공했다.


---


 주요 결과 및 의미


1. XAI 기법의 실효성 검증: SHAP와 LIME은 각 모델이 어떤 특징(feature)을 바탕으로 판단을 내렸는지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실제 보안 분석가의 빠른 대응을 지원한다.

2. 설명 가능성과 성능의 균형 확보: 높은 정확도와 함께 명확한 설명이 제공되어, 규제 산업에서도 실용화 가능성이 높아졌다.

3. 현실적 공격 탐지에 유용한 특성 식별: TTL, 목적지 서비스 수, 패킷 간 간격 등은 IDS에 적용 가능한 핵심 탐지 특성으로 부각되었다.


---


 실용적 시사점과 한계


이 연구는 XAI 기반 IDS가 실제 기업과 조직에서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경고의 신뢰도 향상: 분석가가 왜 경고가 발생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으므로, 더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 가능

* 설명 요구 대응: 내부 감사, 법적 분쟁, 고객 응대 등 다양한 상황에서 설명 자료로 활용 가능

* 보안 인력 교육에도 효과적: 모델이 어떻게 판단하는지를 시각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교육 도구로도 활용 가능


그러나 여전히 다음과 같은 과제가 남아 있다:


* XAI 기법의 계산 비용이 높아, 실시간 적용에는 부담

* 일부 고급 기법은 설명이 추상적일 수 있음

* 실제 산업 환경과의 호환성 검증이 추가로 필요함


---


 결론: 신뢰 가능한 보안을 위한 실용적 대안


이번 연구는 ML 기반 IDS가 갖는 '블랙박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 해법으로 XAI 통합을 제시하며, 탐지 성능과 해석 가능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는 단순한 기술 개선을 넘어,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특히 SHAP, LIME, ELI5 같은 XAI 도구를 다양한 모델에 적용한 접근법은, 사이버보안의 실전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에는 더 다양한 XAI 기술을 활용하고, 실제 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실증연구가 이어진다면, 설명 가능한 보안 시스템은 표준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

 출처:

Mohale VZ and Obagbuwa IC (2025) Evaluating machine learning-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s with explainable AI: enhancing transparency and interpretability. *Front. Comput. Sci.* 7:1520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