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현실(Mixed Reality)이 교육 현장학습에 불러온 혁신

혼합현실 헤드셋을 착용한 학생이 야외 현장학습 중 시각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통합하며 노트를 작성하는 모습 – 몰입형 학습의 새로운 지평을 보여준다.




전통적인 교실 수업을 보완하는 교육 방식으로 현장학습은 오랫동안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 학생들은 교과서와는 다른 실물 경험을 통해 지식을 체화하고, 오감으로 정보를 받아들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장학습에서 항상 고민거리가 되었던 것은 바로 ‘어떻게 정보를 기록하고 정리할 것인가’다.


기존 기록 방식의 한계

현장학습에서 학생들은 흔히 종이와 펜, 또는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필기하거나 사진을 찍으며 정보를 기록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제약이 있다:

  • 공간적 정보(예: 위치, 거리, 구조 등)를 정교하게 표현하기 어렵다
  • 시각·청각·촉각 등 다양한 감각을 통합한 멀티모달 정보를 기록하기엔 제한적이다
  • 관찰과 기록을 동시에 하기가 어렵다 – 집중이 분산된다


혼합현실(MR)의 등장: 새로운 가능성

2024년 애플에서 출시한 Apple Vision Pro는 이러한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해당 논문에서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노트 필기 방식이 전통적 필기 방식 및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 필기 방식과 비교해 어떤 학습 효과를 가져오는지를 탐색했다.

실험 설계: 세 가지 시나리오

논문은 31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세 가지 유형의 교육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세 가지 노트 필기 방식(MR, 종이 필기, 스마트폰 필기)의 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 Scenario 1: 실물 관찰 - 역사 유물 등을 직접 관찰하며 기록
  • Scenario 2: 텍스트 정보 - 기사 읽기 후 요약
  • Scenario 3: 영상 시청 - TED 강연 시청 후 정보 정리

주요 결과와 분석

1. 실물 관찰 시(MR > 종이 ≈ 스마트폰)

혼합현실을 활용한 경우, 정보의 양(N-score)지식 유지(KR-score)에서 두드러진 향상을 보였다. 공간 상에 직접 정보를 주석 달 듯 기록하는 기능이, 실제 사물과 정보의 연관성을 강화하여 기억력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2. 텍스트 정보 시(MR > 스마트폰 > 종이)

혼합현실 그룹이 기록한 정보의 양은 가장 많았으나, 조직력(Organization-score)에서는 종이 필기가 우수했다. 이는 타이핑 속도나 시야 구성 등 MR의 물리적 제약 때문일 수 있다.

3. 영상 정보 시(세 방식 모두 유사)

영상 시청 기반 학습에서는 세 방법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영상 정보가 이미 시각적 자극을 충분히 제공하므로 MR의 장점이 상대적으로 약화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참여자 피드백: MR은 유용하지만 편하진 않다

참여자들은 MR 기술의 몰입감과 자유로운 공간 활용 능력은 칭찬했지만, 헤드셋의 무게감, 조작성의 불편함, 시야 제한 등은 단점으로 지적했다. 특히 장시간 착용 시 눈의 피로와 멀미를 호소한 사례도 있었다.


비판적 고찰 및 향후 가능성

본 연구는 MR 기술이 아직 완벽하진 않지만, 교육 현장에서 충분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장소 기반 학습이나 공간 기억이 중요한 주제에 있어선 기존의 필기 방식을 넘어서는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이 연구에서 인상 깊었던 점은 ‘공간 주석화(annotation in space)’라는 개념이다. 이는 단순한 정보 기록을 넘어, 관찰한 대상과 정보를 물리적 공간에 연결함으로써 지식의 위치 기반 기억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이는 향후 지리학, 생물학, 역사 등 다양한 야외 교육 현장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결론: MR은 대체가 아닌 ‘보완재’

논문은 결론에서 명확히 말한다. MR 기술은 전통적인 노트 필기를 대체할 기술이 아니다. 대신, 현장학습의 몰입도와 정보 밀도를 끌어올릴 수 있는 유력한 보완 도구로 기능할 수 있다.

향후 과제

  • MR 기기의 경량화와 조작성 개선
  • 교사와 학생을 위한 MR 콘텐츠 개발
  • 협업 기반 MR 학습 시스템 구축

출처

Lim KYT, Liang AJC, Fang Y, Kuok BZW (2025) Annotating the Field: Investigating the Affordances of Mixed Reality for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 Virtual Worlds, 4(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