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몸이 만날 때: 예술과 기술의 경계를 넘어서는 사이보그 퍼포먼스




AI가 예술을 흉내낼 수 있을까?

최근 몇 년 사이, AI는 음악과 예술의 영역까지 빠르게 침투했다.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작곡하며, 인간의 창의성을 대체할 수 있다는 거대한 환상이 부풀어 올랐다. 하지만 과연 AI는 인간 예술가의 몸과 감각, 그리고 무대 위에서의 즉흥성까지 완벽히 흉내낼 수 있을까?

마르코 돈나루마(Marco Donnarumma)의 논문 AI and corporeal knowledge는 이 질문에 과감히 반기를 든다. 그는 AI가 단순히 데이터와 패턴으로 창작을 모방하는 것에 머물러선 안 된다고 주장한다. 대신 인간의 몸(embodiment)을 적극적으로 기술과 연결해, 새로운 형태의 예술과 감각을 탐험해야 한다고 말한다.


몸의 지식(Corporeal Knowledge)이라는 낯선 개념

대부분의 AI 연구자들은 ‘지식’을 데이터로 정의한다. 그러나 돈나루마는 인간이 몸을 통해 얻는 지식, 즉 코퍼리얼 노리지(corporeal knowledge)에 주목한다. 무용수의 근육 기억, 연주자의 손끝 감각처럼 오롯이 몸에 새겨져 반복되고 즉흥적으로 튀어나오는 지식이다.

개인적으로 이 논문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지점은 ‘몸은 데이터를 입력하는 도구가 아니라, 데이터와 함께 변형되고 학습하는 주체’라는 발상이다. AI가 인간의 몸과 감각에 녹아들어 상호작용할 때, 인간과 기계는 더 이상 주종 관계가 아니다. 대신 하나의 생체-기계 생태계(configuration)로 결합되어 서로를 변화시킨다.



사이보그 악기와 소닉 오르간(Sonic Organ)

돈나루마는 이를 단순한 이론에 머물지 않고 직접 구현한다. 그는 근육의 진동 소리(MMG, Mechanomyogram)를 포착해 음악으로 변환하는 Xth Sense라는 바이오피지컬 악기를 만들었다. 이 악기는 연주자의 근육 움직임을 감지해 즉각적으로 소리를 만든다.

또한 그는 ‘소닉 오르간(sonic organ)’이라 불리는 장치를 고안해 관객의 뼈와 피부로 소리를 전송한다. 청각장애인도 진동으로 음악을 ‘듣게’ 만드는 이 기술은 전통적인 ‘귀로 듣는 음악’의 경계를 허문다.


장애학과 페미니즘, 그리고 새로운 퍼포먼스

돈나루마의 작업은 비판적 장애학(Critical Disability Studies)페미니즘 현상학의 사유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그는 의수·의족 같은 전통적인 보조기기를 ‘결손을 보완하는 장치’로만 보지 않는다. 오히려 기술이 몸을 확장하고 때로는 낯설게 만들어 새로운 움직임과 감각을 생성하는 예술적 사이보그로 해석한다.



AI 창작, 이제는 예술가의 몸과 함께여야 한다

흥미롭게도 최근의 생성형 AI는 점점 더 많은 사람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대신, 창작물의 다양성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돈나루마는 이를 ‘동일한 데이터로부터 파생되는 모방의 연속’이라 경계한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일까? 그는 AI가 예술가의 몸과 리듬, 감각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AI가 예측하고 통제하는 대신, 연주자와 함께 실수를 만들어내고 그 실수가 새로운 음악을 탄생시키는 것이다.


기술과 예술의 경계를 넘어서야 하는 이유

이 논문이 가장 인상적인 점은 기술과 예술, 신체와 기계의 경계를 허무는 것을 단순한 실험으로만 끝내지 않는다는 것이다. 돈나루마는 이를 정치적·사회적 실천으로 확장한다. 그에게 사이보그 악기는 장애와 정상성, 인간과 기계의 위계를 재구성하는 도구다.


앞으로 남은 과제

나는 돈나루마의 제안이 기술의 본질적 한계를 극복한다기보다는, 기술을 다시 인간의 감각과 연결하는 철학적 전환점이라 생각한다. AI가 점점 더 사람을 흉내 내려는 시대에, 오히려 인간만이 가진 ‘몸의 무지와 즉흥성’을 기술이 감히 대체할 수는 없음을 일깨운다.



참고문헌
Donnarumma M (2025) AI and corporeal knowledge: inventing and performing with prostheses and sonic organs. Front. Comput. Sci. 7:1575730. doi: 10.3389/fcomp.2025.1575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