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강현실 사회미디어의 미래, 소셜 MediARverse란?
연구 배경 및 목적
현재 AR 소셜 네트워크 연구는 주로 공공 공간에서의 사회적 수용성에 집중돼 왔다. 그러나 개인 주거지나 미술관·카페 같은 반사적 공간, 나아가 거리·광장 같은 공공 공간에서 AR 콘텐츠를 어떻게 공유·소비할지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세 가지 공간 유형(사적·반사적·공공), 두 가지 콘텐츠 형태(정적 vs. 동적), 두 가지 차원(2D vs. 3D)을 조합해, 사용자가 어떤 맥락에서 AR 콘텐츠를 공유·소비할 의도를 가지는지 조사한다.주요 방법론
110명의 참가자가 온라인 설문에 참여했으며, 세 가지 유형의 틱톡 영상(댄스, 립싱크, 드로잉)을 2×3×2=12가지 조건으로 가공해 총 36개의 AR 영상을 제공했다. 참가자는 각 영상이 자신에게 적합하다고 느끼는지, 공유·소비 의향이 어떠한지를 평가했으며, 감정(Self-Assessment Manikin), 편안함, 주관적 적합성 등의 척도를 사용했다. 온라인 설문 방식은 현실의 외부 영향을 통제하진 못하지만, 다양한 참가자 풀을 확보해 일반화 가능한 설계 지표를 도출하는 데 유용하다.핵심 결과
동적 콘텐츠 vs. 정적 콘텐츠
동적(애니메이션) AR 콘텐츠는 정적 콘텐츠보다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참가자들은 움직임이 있는 AR이 더욱 흥미롭고 몰입감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또한, 사적 공간에서 AR 콘텐츠를 공유·소비하는 것이 가장 편안한 것으로 나타났다.2D vs. 3D 차원성
3D 콘텐츠는 시각적으로 더 매력적이고 미래지향적이라는 평을 얻었지만, 전반적인 선호도는 2D 콘텐츠가 높았다. 특히 동적 2D 콘텐츠가 가장 적합하다는 응답이 두드러졌다.토론 및 독창적 해석
콘텐츠 관리 및 소유권
공간 유형에 따라 AR 콘텐츠 관리 전략이 달라져야 한다. 사적 공간에서는 거주자 중심의 콘텐츠 관리와 개인화가 중요하며, 반사적·공공 공간에서는 사회·문화적 규범에 맞춘 2D·3D 콘텐츠 분류 및 검토가 필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통행인의 관점까지 고려해 AR 사용자 경험을 공유하는 방법론을 탐구해야 한다.위치 공유와 개인정보 보호의 역설
참가자들은 위치 기반 AR에 관심을 보이면서도 개인 위치 정보 공개에는 우려를 표명했다. 이는 사적 공간 공유 의향이 높으면서도, 개인 정보 노출에 대한 불안감이 공존하는 이중적 태도를 뜻한다. 실제 구현 시에는 익명화·허가 요청 알림 등의 메커니즘을 도입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해야 한다.동적 짧은 영상의 가능성
틱톡과 같은 짧은 동적 영상은 소셜 MediARverse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인적·감정적 연결을 위해서는 동적 2D가, 게임·엔터테인먼트 플랫폼에는 동적 3D가 더 적합하다. 향후에는 2D와 3D를 결합한 혼합형 콘텐츠도 탐색할 수 있다.인간 표현의 현실감 수준
현재 AR 환경에서는 주로 2D 아이콘·포스트를 사용하지만, 향후 3D 시각화의 현실감이 높아지면서 인간 표현도 실제감 있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사용자 몰입성과 친밀감을 동시에 높일 것이다.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위치 기반 AR 소셜 네트워크, 즉 소셜 MediARverse의 콘텐츠 디자인 및 문맥별 사용자 반응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 동적 2D 콘텐츠가 사적 공간에서 가장 적합하며, 향후 AR 소셜 미디어 설계 시 해당 조합을 우선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프라이버시 보호와 통행인 관점까지 포함한 콘텐츠 관리 전략, 동적 짧은 영상의 잠재력, 현실감 있는 3D 표현의 발전 가능성을 제안했다. 이 연구는 관광, 교육, 마케팅, 원격 협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실제 현장 실험을 통해 효과를 재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출처논문 (APA)**
Hirsch, L., Mueller, F., Kruse, M., Butz, A., & Welsch, R. (2025). Social MediARverse: investigating users’ social media content sharing and consuming intentions with location-based AR. *Virtual Reality, 29*, 110. [https://doi.org/10.1007/s10055-025-01188-z](https://doi.org/10.1007/s10055-025-01188-z)